본문 바로가기
전기기사/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

2021년 2회 전기기사 필기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(5과목)

by rockstar 2022. 4. 8.
728x90
반응형

81.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매설 깊이는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?

 

① 0.6

② 1

③ 1.5

④ 2

 

압력 O 1m

압력 X 0.6m

관로식 동일

 

정답 2번

 

 

82. 돌침, 수평도체, 메시도체의 요소 중에 한가지 또는 이를 조합한 형식으로 시설하는 것은?

 

① 접지극시스템

② 수뢰부시스템

③ 내부피뢰시스템

④ 인하도선시스템

 

정답 2번

 

83. 지중 전선로에 사용하는 지중함의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?

 

① 조명 및 세척이 가능한 장치를 하도록 할 것

② 견고하고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구조일 것

③ 그 안의 고인 물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을 것

④ 뚜껑은 시설자 이외의 자가 쉽게 열 수 없도록 할 것

 

1m^3 이상은 통풍장치 설치

정답 1번

 

84. 전식방지대책에서 매설금속체측의 누설전류에 의한 전식의 피해가 예상되는 곳에 고려하여야 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?

 

① 절연코팅

② 배류장치 설치

③ 변전소 간 간격 축소

④ 저준위 금속체를 접속

 

전기철도측 - 변전 / 레일

정답 3번

 

 

85. 일반 주택의 저압 옥내배선을 점검하였더니 다음과 같이 시설되어 있었을 경우 시설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?

 

① 합성수지관의 지지점 간의 거리를 2m로 하였다.

② 합성수지관 안에서 전선의 접속점이 없도록 하였다.

③ 금속관공사에 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을 제외한 절연전선을 사용하였다.

④ 인입구에 가까운 곳으로서 쉽게 개폐할 수 있는 곳에 개폐기를 각 극에 시설하였다.

 

합성수지관 1.5m

정답 1번

 

 

86. 하나 또는 복합하여 시설하여야 하는 접지극의 방법으로 틀린 것은?

 

① 지중 금속구조물

② 토양에 매설된 기초 접지극

③ 케이블의 금속외장 및 그 밖에 금속피복

④ 대지에 매설된 강화콘크리트의 용접된 금속 보강재

 

강화 콘크리트는 제외

정답 4번

 

 

87. 사용전압이 154㎸인 전선로를 제1종 특고압 보안공사로 시설할 때 경동연선의 굵기는 몇 ㎟ 이상이어야 하는가?

 

① 55

② 100

③ 150

④ 200

 

66 kV 55 ㎟
154 kV 150 ㎟
345 kV 200 ㎟

정답 3번 

 

 

88. 다음 ( )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?

 

동일 지지물에 저압 가공전선(다중접지된 중성선은 제외한다.)과 고압 가공전선을 시설하는 경우 고압 가공전선을 저압 가공전선의 ( ㉠ )로 하고, 별개의 완금류에 시설해야 하며, 고압 가공전선과 저압 가공전선 사이의 이격거리는 ( ㉡ )m 이상으로 한다.

① ㉠ 아래 ㉡ 0.5

② ㉠ 아래 ㉡ 1

③ ㉠ 위 ㉡ 0.5

④ ㉠ 위 ㉡ 1

 

위 0.5 m (케이블일 경우 0.3m)

정답 3번

 

 

89.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 정하는 안전원칙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?

 

① 전기설비는 감전, 화재 그 밖에 사람에게 위해를 주거나 물건에 손상을 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한다.

② 전기설비는 다른 전기설비, 그 밖의 물건의 기능에 전기적 또는 자기적인 장해를 주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한다.

③ 전기설비는 경쟁과 새로운 기술 및 사업의 도입을 촉진함 으로써 전기사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도록 시설하여야 한다.

④ 전기설비는 사용목적에 적절하고 안전하게 작동하여야 하며, 그 손상으로 인하여 전기공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한다.

 

안전원칙 문제

정답 3번

 

 

90. 플로어덕트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에서 연선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전선(동선)의 단면적은 최대 몇 ㎟인가?

 

① 2

② 4

③ 6

④ 10

 

전선은 절연전선

연선을 사용할 것 (단 10mm^2 이하 단선사용 가능)

옥외용 절연전선 사용 X

전선의 접속점은 없을 것

덕트의 끝부분은 막는다

조영재 관통하지 않을 것

 

정답 4번

 

 

91. 풍력터빈에 설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설하는 운전 상태를 계측하는 계측장치로 틀린 것은?

 

① 조도계

② 압력계

③ 온도계

④ 풍속계

 

진동, 속도, 압력, 온도, 풍속

정답 1번

 

 

92. 전압의 종별에서 교류 600V는 무엇으로 분류하는가?

 

① 저압

② 고압

③ 특고압

④ 초고압

 

 

  저압
교류 1000 V 이하
직류 1500 V 이하

정답 1번

 

 

93. 옥내 배선공사 중 반드시 절연전선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공사방법은? (단, 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은 제외한다.)

 

① 금속관공사

② 버스덕트공사

③ 합성수지관공사

④ 플로어덕트공사

 

절연전선을 사용하지 않는다 - 나전선 사용 공사 문제

애자사용공사

버스덕트공사

라이팅덕트

접촉전선

 

정답 2번

 

94. 시가지에 시설하는 사용전압 170㎸ 이하인 특고압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이 철탑이고 전선이 수평으로 2 이상 있는 경우에 전선 상호 간의 간격이 4m 미만인 때에는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경간은 몇 m 이하이어야 하는가?

 

① 100

② 150

③ 200

④ 250

 

경간 경간 특고압
A종 150 75
B종 250 150
철탑 600 400 (수평2m 간격 4m 일때 250)

 정답 4번

 

95. 사용전압이 170㎸ 이하의 변압기를 시설하는 변전소로서 기술원이 상주하여 감시하지는 않으나 수시로 순회하는 경우, 기술원이 상주하는 장소에 경보장치를 시설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?

 

① 옥내변전소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

② 제어회로의 전압이 현저히 저하한 경우

③ 운전조작에 필요한 차단기가 자동적으로 차단한 후 재폐로한 경우

④ 수소냉각식 조상기는 그 조상기 안의 수소의 순도가 90% 이하로 저하한 경우

 

무인변전소 재폐로 하는 경우는 제외

정답 3번

 

 

96. 특고압용 타냉식 변압기의 냉각장치에 고장이 생긴 경우를 대비하여 어떤 보호장치를 하여야 하는가?

 

① 경보장치

② 속도조정장치

③ 온도시험장치

④ 냉매흐름장치

 

경보장치

정답 1번

 

 

97.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 사용하는 B종 철주, B종 철근콘크리트주 또는 철탑의 종류에서 전선로의 지지물 양쪽의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하는 것은?

 

① 각도형

② 인류형

③ 내장형

④ 보강형

 

각도형 - 직선 - 3도

인류형 - 전가섭선

내장형 - 경간의 차가 큰 곳

정답 3번

 

정답 3번

 

 

98. 아파트 세대 욕실에 ″비데용 콘센트″를 시설하고자 한다. 다음의 시설방법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?

 

① 콘센트는 접지극이 없는 것을 사용한다.

② 습기가 많은 장소에 시설하는 콘센트는 방습장치를 하여야 한다.

③ 콘센트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절연변압기(정격용량 3kVA 이하인 것에 한한다.)로 보호된 전로에 접속하여야 한다.

④ 콘센트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(정격감도전류 15㎃ 이하, 동작시간 0.03초 이하의 전류 동작형의 것에 한한다.)로 보호된 전로에 접속하여야 한다.

 

접지극 콘센트

방수

누전차단기 15mA 0.03초

 

정답 1번

 

 

99. 고압 가공전선로의 가공지선에 나경동선을 사용하려면 지름 몇 ㎜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가?

 

① 2.0

② 3.0

③ 4.0

④ 5.0

 

고압 4mm
특고압 5mm

정답 3번

 

100. 변전소의 주요 변압기에 계측장치를 시설하여 측정하여야 하는 것이 아닌 것은?

 

① 역률

② 전압

③ 전력

④ 전류

 

발전소, 주변압기의 계측장치

전압, 전류, 전력

 

정답 1번 역률 

 

728x90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