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기기사/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

2021년 3회 전기기사 필기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(5과목)

rockstar 2022. 4. 6. 17:10
728x90
반응형

1. 저압 옥상전선로의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 ?

1. 전개된 장소에 위험의 우려가 없도록 시설할 것
2. 전선은 지름 2.6 [mm] 이상의 경동선을 사용할 것
3. 전선은 절연전선(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은 제외)을 사용할 것
4. 전선은 상시 부는 바람 등에 의하여 식물에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시설 하여야 한다.

옥외용 비닐 절연전선 사용가능
정답 3번

2. 이동형 용접 전극을 사용하는 아크용접장치의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 ?

1. 용접변압기는 절연변압기일 것
2. 용접변압기의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은 300[V] 이하일 것
3. 용접변압기의 2차측 전로에는 용접변압기에 가까운 곳에 쉽게 개폐할 수 있는 개폐기를 시설할 것
4. 용접변압기의 2차측 전로 중 용접변압기로부터 용접전극에 이르는 부분의 전로는 용접 시 흐르는 전류를 안전하게 통할 수 있는 것일 것

정답 3번 2차측이 아니라 1차측임

3. 사용전압이 15[kV] 초과 25[kV] 이하인 특고압 가공전선로가 상호 간 접근 또는 교차하는 경우 사용전선이 양쪽 모두 나전선이라면 이격거리는 몇 [m] 이상이어야 하는가 ? (단, 중성선 다중접지 방식의 것으로서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2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이를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가 되어 있다.)

1. 1.0
2. 1.2
3. 1.5
4. 1.75

나전선 - 1.5m
특고압 절연전선 - 1.0m
케이블 - 0.5m

정답 3번 나전선 1.5m

4. 최대사용전압이 1차 22000[V], 2차 6600[V] 의 권선으로서 중성점 비접지식 전로에 접속하는 변압기의 특고압측 절연내력 시험전압은 ?

1. 24000
2. 27500
3. 33000
4. 44000

다중 접지 0.92 배
비접지 1.25 배
접지 1.1 배

비접지
22000 X 1.25 = 27500
정답 2번

5.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 볼 수 없는 것은 ?

1 철주
2 지선
3 철탑
4 철근 콘크리트주

2번 지선

6. 점멸기의 시설에서 센서등(타임스위치 포함)을 시설하여야 하는 곳은 ?

1. 공장
2. 상점
3. 사무실
4. 아파트 현관

타임스위치 소등 시간

숙박 호텔 1분
주거 아파트 3분

4번 아파트 현관

7. 순시조건(t<_ 0.5초) 에서 교류 전기철도 급전시스템에서의 레일 전위의 최대 허용 접촉전압(실효값)을 옳은 것은 ?

1. 60
2. 65
3. 440
4. 670

t<_ 0.5초 670V
0.5 < t <_ 300 65V
t > 300 60V

정답 4번 670V

8. 전기저장장치의 이차전지에 자동으로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하는 경우로 틀린 것은 ?

1. 과저항이 발생한 경우
2. 과전압이 발생한 경우
3. 제어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
4. 이차전지 모듈의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할 경우

과전압, 과전류가 발생한 경우
정답은 1번

9. 뱅크용량이 몇 [kVA] 이상인 조상기에는 그 내부에 고장이 생긴 경우에 자동적으로 이를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보호장치를 하여야 하는가 ?

1. 10000
2. 15000
3. 20000
4. 25000

전력용 콘덴서 500~15000
분로 리액터 15000 이상
조상기 15000

정답 2번 15000

10. 전주외등의 시설 시 사용하는 공사방법으로 틀린 것은 ?

1. 애자공사
2. 케이블공사
3. 금속관공사
4. 합성수지관공사

케이블은 가능
전주외등은 관공사
정답 1번 애자공사

11. 농사용 저압 가공전선로의 지지점 간 거리는 몇 [m] 이하이어야 하는가 ?

1. 30
2. 50
3. 60
4. 100

농사용 전선로
경간 30m
저압만 가능
굵기는 2

정답 1번 30m

12. 특고압 가공전선로에서 발생하는 극저주파 전계는 지표상 1[m] 에서 몇 [kV/m] 이하이어야 하는가 ?

1. 2.0
2. 2.5
3. 3.0
4. 3.5

유도장해
전력선 - 약전류전선 : 2m
전화 선로 : 12km 2uA 이하
40km 3uA 이하
전계 : 3.5 자계 83.3

정답 4번

13. 단면적 55[mm^2]인 경동연선을 사용하는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 장력에 견디는 형태의 B종 철근 콘크리트주를 사용하는 경우 허용 최대 경간은 몇 [m] 인가 ?

1. 150
2. 250
3. 300
4. 500

  표준경간 고압 : 22 특 : 50 단면적
A종 150 300
B종 250 500
철탑 600 600/제한없음

정답 4번

14. 저압 옥측전선로에서 목조의 조영물을 시설 할 수 있는 공사 방법은 ?

1. 금속관공사
2. 버스덕트공사
3. 합성수지관공사
4. 케이블공사(무기물절연(MI)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)

정답 3번

15. 시가지에 시설하는 154[kV] 가공전선로를 도로와 제 1차 접근상태로 시설하는 경우, 전선과 도로와의 이격거리는 몇 [m] 이상이어야 하는가 ?

1. 4.4
2. 4.8
3. 5.2
4. 5.6

일반적으로 12cm
도로와 건조물, 도로 10kV 당 15cm 가산

35kV : 3m
154kV

3 + (15.4 - 3.5) X 0.15
3 + 1.78
= 4.8
정답 2번

16. 귀선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?

1. 나전선을 적용하여 가공식으로 가설을 원칙으로 한다.
2. 사고 및 지락 시에도 충분한 허용전류용량을 갖도록 하여야 한다.
3. 비절연보호도체, 매설접지도체, 레일 등으로 구성하여 단권변압기 중성점과 공통접지에 접속한다.
4. 비절연보호도체의 위치는 통신유도장해 및 레일전위의 상승의 경감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.

나전선X
정답1번


17. 변전소에 울타리, 담 등을 시설할 때, 사용전압이 345[kV] 이면 울타리 담 등의 높이와 울타리 담 등으로부터 총전부분까지의 거리의 합계는 몇 [m]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?

1. 8.16
2. 8.28
3. 8.40
4. 9.72

35 kV 5m
35 - 160kV 6m
160kV 단수

345 [kV]
6 + (34.5-16) X 0.12 =
6 + 18.5 X 2.28 = 8.28
정답 2번

18. 큰 고장전류가 구리 소재의 접지도체를 통하여 흐르지 않을 경우 접지도체의 최소 단면적은 몇 [mm^2] 이상이어야 하는가 ? (단, 접지도체에 피뢰시스템이 접속되지 않는 경우이다.)

1. 0.75
2. 2.5
3. 6
4. 16

피뢰 X 6
피뢰 O 16


정답 3번

19. 전력보안 가공통신선을 횡단보도교 위에 시설하는 경우 그 노면상 높이는 몇 [m] 이상인가 ?
(단,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 또는 이에 직접 접속하는 가공통신선은 제외한다.)

1. 3
2. 4
3. 5
4. 6

첨가통신선 제외

  통신선 첨가통신선 (저/고) 첨가통신선 (특)
도로 일반 5 6 6
도로 교통에 지장X 4.5 5 X
철도 6.5 6.5 6.5
횡단보도교위 3 3.5 5
횡단보도교위 절연전선 X 3 4
일반 3.5 4 5


정답 1번 3m

20. 케이블트레이 공사에 사용할 수 없는 케이블은 ?

1. 연피 케이블
2. 난연성 케이블
3. 캡타이어 케이블
4. 알루미늄피 케이블

정답 3번

728x90
반응형